반응형
휴일이라면 엄두도 못낼 일이었다.
몇 주전 대구에서 올라오는 길에 법주사로 방향을 틀었다가 길게 늘어선 차들을 보고 되돌아 온 적도 있었다.
간단하게 도시락을 싸서 아내와 세조길을 다시 도전하기로 했다.
주차장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었다.
옷을 좀 더 준비를 했어야하나 싶을 정도로 제법 쌀쌀하다.
법주사로 올라가는 길에는 엿장수의 걸죽한 농담에 아주머니들의 웃음소리가 현란하게 공간으로 퍼져 나간다.
4,000*2=8,000원의 거금을 내고 절로 들어선다,
세조길 자연관찰로에는 색색의 양탄자가 깔렸다.
법주사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세조길이 있다. 세심정까지 약 2.5km이다. 계곡을 따라 포장도로가 있지만 데크로 따로 길이 내어져 있어 오솔길처럼 걷는 재미가 일품이다.
세심정에는 막걸리가 있었다. 가격에 놀라 되돌아서서 벤치에 앉아 도시락을 먹었다. 따뜻한 물이 있어 더 좋더라.
시간이 되면 좀 더 걸어도 좋겠더라.
아내 왈 "집 가까이에 있으면 매일 와도 좋겠다."
높은 나무들이 내내 그늘을 만들어 준다. 계절마다 오면 좋겠다.
그 놈의 입장료- 매번 법주사를 둘러볼 건 아니자녀 - 만 아니라면.......
내려와서는 법주사 경내를 꼭 둘러보자.
선조들의 흔적들이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하리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