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문화재 사전

삼국의 고분_무덤 양식

그저 물처럼 2022. 10. 2. 12:11
반응형

인간은 언젠가부터 내세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었고, 시신과 함께 평소 사용했던 또는 아주 귀중한 물건을 같이 매장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구덩이에,  매장을 하고 위에 큰 돌을 괴이거나(고인돌), 돌로 간단하게 둘러놓고(돌널) , 단지(옹관)에 넣어 땅에 묻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외에도 각지의 풍습이나 경제적 형편에 따라 다양한 매장 풍습이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우리나라 그것도 삼국의 무덤 양식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1. 돌무지무덤(적석분)
삼국초기 압록강과 한강 주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서울석촌동고분이 가장 좋은 예이다. 매장을 하거나 땅 위에 시신을 놓고 돌을 쌓아 올린 것이다.
가장 유명한 것이 집안에 있는 장군총이다.


2.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
1) 고구려, 백제, 남북국시대-보통 통일이라는 용어를 쓴다.-의 신라에서 보이는 양식이다.
2) 돌을 쌓아 방을 만들고(돌방) 입구까지는 복도(굴)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3) 돌로 만든 방에는 회칠을 하고 그림을 그렸다. 고구려 무덤인 무용총, 각저총 등이 그것이다. 그림은 풍속화 말고도 초상화, 사신도, 별자리 등 다양하다.
4) 대신에 입구만 찾으면 방까지 쉽게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도굴이 쉬워 껴묻거리(부장품)이 거의 없다.
5) 공주의 무령왕릉은 벽돌무덤(전축분)이지만 벽돌을 돌로 바꿔보면 쉽게 양식을 파악할 수 있겠다.
6) 고구려 무덤은 접근이 불가능하지만 공주 송산리 고분군과 경주에 방형분(네모무덤)이 있다. 경주방형분은 안까지 들어갈 수 있다. 랜턴을 들고 벽을 잘 살펴보면 회칠 흔적을 볼 수 있다. 위치는 폐역이 된 불국사역 건너편에 있다. 정확한 명칭은 경주구정리방형분이다.

3.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
1) 삼국시대의 신라에 나타나는 무덤양식이다. 나무로 방을 만들고(목곽) 그 위에 돌을 쌓아(돌무지-경상도 사투리로 무디기) 만든 무덤

2)  그림과 같이 목곽(덧널) 위에 돌을 쌓아 올린 것이므로 도굴이 어렵다. 시간이 지나면 덧널이 썩어면  돌무지도 같이 내려앉으니 모두 들어내야 관에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왕 또는 귀족의 무덤에서 금관을 비롯하여  엄청난 껴묻거리(부장품) 도굴당하지 않은 이유가 이것이다. 경주박물관과 부여박물관의 규모가 다른 것이 이 이유이다.
천마총에 가면 양식을 이해하기 쉽게  안내되어 있다.
3) 지금까지 발굴된, 그 중에서도 금관이 나온 무덤의 주인을 밝혀줄 단서가 없다. 금관이 나왔으니 왕릉이라 봐야할 듯한데 이미 대부분의 신라왕은 자기 무덤을 가지고 있으니 아이러니다. 금관총 등의 유물 이름을 붙은 무덤의 주인은 누구일까?
4) 유독 신라의 금관은 왜 그 수가 많을까? 현재까지 발굴된 금관은 모두 7개이다. 권위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계승의 의미-계승자에게 전달- 가 더 강하다는 걸 감안한다면 더욱 그렇다.
발굴될 당시 금관이 어깨에 걸쳐 있었다는 걸 생각해봄직하다. 평소 사용한 것이라기보다는  단순히 껴묻거리로 제작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여기에 사용한 사진은 검색하여 가져온 것이다.  출처를 모두 밝히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 혹 보시고 내리기를 원하면 바로 수정하겠다.

반응형